2025년 6월 20일 증시 분석: 3년 반 만에 돌아온 ‘삼천피’, 상승 동력과 시장 전망
서론: 한국 증시의 역사적인 이정표
2025년 6월 20일, 한국 주식시장은 역사적인 순간을 맞이했습니다. 코스피(KOSPI) 지수가 종가 기준 3,021.84포인트로 마감하며, 2021년 12월 28일 이후 약 3년 6개월 만에 심리적, 기술적 저항선인 3,000포인트, 이른바 ‘삼천피’ 시대를 다시 열었습니다.1 이날의 상승으로 코스피 시가총액은 2,472조 원에 달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1
이날의 성과는 단순히 하루의 상승으로 치부할 수 없는 깊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5거래일 연속 이어진 상승 랠리의 정점이었으며 5, 무엇보다 시장 참여자들의 투자 심리에 강력한 변곡점을 제시했습니다. 지난 3년여간 글로벌 주요 증시가 신고가를 경신하는 동안에도 한국 증시는 소위 ‘코리아 디스카운트’라는 굴레 속에서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투자자들에게 암울한 시기를 안겨주었습니다.7 하지만 이날 3,000선 돌파는 오랜 기간 시장을 짓눌렀던 비관론을 걷어내고, 한국 증시가 새로운 국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는 강력한 신호탄으로 해석됩니다.
이러한 극적인 반전은 단일 요인이 아닌, 여러 긍정적 동력이 절묘하게 맞물린 결과였습니다. 새 정부의 강력한 증시 부양 의지와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에 대한 기대감, 시장 유동성을 확대하는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안 발표, 돌아온 외국인 투자자들의 공격적인 순매수, 그리고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라는 우호적인 대외 환경이 완벽한 ‘퍼펙트 스톰’을 형성하며 지수를 밀어 올렸습니다. 본 보고서는 2025년 6월 20일 하루 동안 한국 증시에서 나타난 주요 지표와 현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이날의 역사적인 상승이 어떤 동력에 의해 가능했는지, 그리고 이것이 향후 시장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다각도로 조명하고자 합니다.
1. 주요 지수 동향: 확신으로 채워진 상승 랠리
2025년 6월 20일, 한국 증시는 장 초반의 변동성을 이겨내고 오후로 갈수록 상승에 대한 확신을 키워나가는 전형적인 강세장의 모습을 보였습니다. 코스피와 코스닥 양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하며 시장 전반에 퍼진 강력한 투자 심리를 증명했습니다.
1.1 코스피(KOSPI) 일중 흐름 분석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44.10포인트(1.48%) 상승한 3,021.84로 장을 마감했습니다.1 장중 움직임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시장의 심리 변화를 뚜렷하게 읽을 수 있습니다. 지수는 2,986.52로 상승 출발했으나, 장 초반에는 3,000선 돌파를 앞두고 차익 실현 매물과 경계 심리가 나타나며 2,972.37까지 밀리는 등 다소의 변동성을 보였습니다.9
하지만 시장의 변곡점은 오전 10시 45분에 찾아왔습니다. 이 시점을 기점으로 코스피는 3,000포인트를 강력하게 상향 돌파했으며 5, 이후 하락 없이 꾸준히 상승 폭을 키워나갔습니다. 특히 오후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더욱 거세지면서 5, 장 막판에는 당일 고점인 3,022.06까지 치솟으며 강력한 매수 우위로 마감했습니다.9
이러한 일중 흐름은 단순한 기술적 반등이 아닌, 시장 참여자들의 ‘확신’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화되었음을 시사합니다. 장 초반의 단기적인 조정은 건전한 소화 과정이었으며, 이를 딛고 재차 상승 동력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이날의 랠리가 매우 견고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2 코스닥(KOSDAQ) 일중 흐름 분석
코스닥 지수 역시 코스피와 동조화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전일 대비 9.02포인트(1.15%) 오른 791.53으로 마감했으며, 이는 당일 최고가와 동일한 수치입니다.5 장 초반에는 보합권에서 혼조세를 보이며 하락 전환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나 10, 코스피가 3,000선을 돌파한 이후 투자 심리가 빠르게 개선되면서 상승세로 전환했습니다. 결국 코스닥 역시 장 후반으로 갈수록 힘을 받으며 강세로 마감, 시장의 ‘위험 선호’ 심리가 대형주뿐만 아니라 중소형주까지 폭넓게 확산되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표 1: 주요 지수 요약 (2025년 6월 20일) | |||||||
지수 | 종가 | 전일 대비 (포인트) | 전일 대비 (%) | 시가 | 고가 | 저가 | |
코스피 | 3,021.84 | +44.10 | +1.48% | 2,986.52 | 3,022.06 | 2,972.37 | |
코스닥 | 791.53 | +9.02 | +1.15% | 783.63 | 791.53 | 780.65 | |
자료 출처: 9 |
2. 상승의 주역: 투자자별 수급 심층 분석
2025년 6월 20일의 역사적인 랠리를 만든 핵심 동력은 단연 ‘수급’이었습니다. 특히 투자 주체별로 극명하게 엇갈린 매매 동향은 이날 시장의 성격을 명확하게 규정합니다. 외국인과 기관, 즉 ‘스마트 머니’가 주도하는 강력한 매수세가 개인 투자자들의 대규모 차익 실현 매물을 모두 소화하고도 남아 지수를 끌어올린, 전형적인 기관 주도형 장세였습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무려 5,619.8억 원을 순매수했으며, 기관 투자자 역시 380.4억 원의 순매수를 기록하며 힘을 보탰습니다.13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지수가 3년 반 만의 고점에 도달하자 무려 6,021.4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순매도를 통해 차익 실현에 나섰습니다.12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70.4억 원, 385.2억 원을 순매수했고, 개인은 796.2억 원을 순매도하며 유사한 패턴을 보였습니다.16
표 2: 투자자별 순매수 현황 (2025년 6월 20일) | ||||
시장 | 외국인 | 기관 | 개인 | |
코스피 | +5,620억 원 | +380억 원 | -6,021억 원 | |
코스닥 | +470억 원 | +385억 원 | -796억 원 | |
자료 출처: 13 |
이러한 수급 데이터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이날의 외국인 매수세가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이는 한국 시장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근본적인 시각 변화를 암시하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2024년 8월부터 2025년 4월까지 무려 9개월 연속 순매도 행진을 이어가며 약 40조 원에 가까운 자금을 회수했던 외국인들은 5월을 기점으로 순매수로 돌아섰습니다.7 그리고 6월 들어서는 매수 강도를 더욱 높여 20일까지 5조 원에서 6조 원이 넘는 주식을 사들였습니다.7
이러한 장기간의 대규모 매도에서 공격적인 매수로의 전환은 단순한 포트폴리오 조정이 아닌, 한국 시장의 구조적 매력도가 높아졌다고 판단하는 전략적 자금 재배치를 의미합니다. 새 정부의 정책 기대감, 개선되는 기업 펀더멘털, 그리고 매력적인 밸류에이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외국인들의 ‘바이 코리아(Buy Korea)’를 촉발시킨 것입니다. 따라서 6월 20일의 랠리는 이러한 거대한 자금 흐름의 변화가 가시화된 상징적인 날로 평가할 수 있으며, 향후 증시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뒷받침합니다.
3. 거시경제와 정책 환경: 랠리를 뒷받침한 삼박자
주식 시장은 진공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습니다. 2025년 6월 20일의 강세장은 기술적 요인을 넘어,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를 한껏 부풀린 거시경제 및 정책 환경이라는 튼튼한 기반 위에서 펼쳐졌습니다. 특히 새 정부의 친시장 정책에 대한 강력한 신뢰, 대규모 재정 투입을 통한 유동성 공급, 그리고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라는 ‘삼박자’가 완벽한 조화를 이루며 투자 심리를 최고조로 이끌었습니다.
3.1 ‘새 정부 효과’와 정책 기대감
시장의 가장 큰 동력은 이재명 신정부의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었습니다.11 정부는 ‘임기 내 코스피 5000’이라는 야심 찬 목표를 제시하며, 한국 증시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어 온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습니다.7
시장은 특히 두 가지 정책에 주목했습니다. 첫째는 이사의 주주 충실 의무를 확대하는 상법 개정안입니다.6 이는 소액주주의 권익을 보호하고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하여, 그동안 외국인 투자자들이 가장 큰 불만으로 제기해 온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는 조치입니다. 둘째는 배당 확대 유도와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 주주환원 강화 정책입니다.17 이러한 정책들이 실현될 경우, 한국 기업들의 가치가 재평가받으며 주가 수준이 한 단계 도약할 것이라는 기대가 시장에 팽배했습니다. 이처럼 추상적인 약속이 구체적인 정책으로 가시화될 것이라는 믿음은 외국계 투자은행(IB)들이 한국 시장에 대한 투자 의견을 ‘비중 확대’로 상향 조정하는 근거가 되었고 17, 이는 외국인 자금 유입을 더욱 가속화하는 선순환을 만들었습니다.
3.2 추가경정예산과 유동성 공급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불을 붙인 것은 바로 30조 5천억 원 규모의 대규모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이었습니다.17 이 추경안은 시장에 ‘불쏘시개’ 역할을 하며 유동성 장세에 대한 기대를 키웠습니다.17
추경안의 핵심은 국민 1인당 15만~50만 원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총 13조 2천억 원 규모)과 소상공인 채무 조정 및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확대 등입니다.18 이러한 조치는 두 가지 경로로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첫째, 시중에 직접적인 유동성을 공급하여 일부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을 높입니다.6 둘째, 내수 소비를 진작시키고 자영업자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실물 경기를 부양하고, 이는 곧 기업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를 낳습니다. 시장은 이 대규모 재정 투입을 단기적인 경기 부양과 투자 심리 개선의 확실한 신호로 받아들였습니다.5
3.3 완화된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
우호적인 국내 환경에 더해, 대외적인 리스크 요인이 완화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최근 시장의 불안 요인이었던 중동 지역의 긴장이 다소 완화되는 조짐을 보였습니다. 미국 대통령이 이란 핵시설 공격 가능성에 대해 즉각적인 군사 행동 대신 ‘2주’의 협상 시한을 제시하면서, 확전 우려가 한풀 꺾였습니다.5
이러한 지정학적 긴장 완화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위험 회피’ 심리를 약화시켰습니다. 안전자산인 미국 달러화가 약세로 전환되고 국제 유가가 안정을 찾으면서, 한국과 같은 신흥국 증시로 자금이 유입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22 이처럼 안정된 대외 여건은 투자자들이 온전히 국내의 긍정적인 요인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습니다.
4. 원/달러 환율 동향: 증시와 맞물린 선순환 구조
2025년 6월 20일, 외환시장에서 나타난 원화의 가파른 강세는 주식시장의 랠리와 동전의 양면처럼 움직이며 강력한 선순환 고리를 형성했습니다. 원화 가치 상승이 외국인 주식 매수를 유인하고, 다시 외국인의 주식 매수가 원화 가치를 더욱 끌어올리는 긍정적인 피드백 루프가 작동한 것입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14.6원 급락한 1,365.60원에 마감하며 뚜렷한 원화 강세 흐름을 보였습니다.5 장중 환율은 최고 1,375.40원에서 최저 1,365.00원 사이에서 움직였으며, 장 후반으로 갈수록 낙폭을 키웠습니다.24 이러한 환율 하락(원화 가치 상승)의 배경에는 완화된 중동 리스크로 인한 글로벌 달러 약세와 함께, 무엇보다 한국 주식시장으로 밀려 들어온 대규모 외국인 자금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5
이날의 시장 움직임은 다음과 같은 단계적인 선순환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초기 촉매제 발생: 새 정부 정책 기대감과 추경안 발표 등 긍정적인 국내 소식이 전해지면서 한국 자산의 매력도가 부각되기 시작합니다. 동시에 글로벌 리스크 완화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약화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하락 압력을 받기 시작합니다.
- 외국인 투자 유인 강화: 하락하는 원/달러 환율(원화 강세)은 외국인 투자자에게 추가적인 수익 기회를 제공합니다. 주가 상승으로 인한 자본 차익뿐만 아니라, 향후 원화를 다시 달러로 환전할 때 발생하는 ‘환차익(換差益)’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7 이는 외국인들이 한국 주식 매수를 더욱 공격적으로 결정하게 만드는 강력한 유인이 됩니다.
- 자금 유입과 환율 하락 가속화: 외국인들이 한국 주식을 매수하기 위해서는 보유한 달러를 팔고 원화를 사야 합니다. 이날 하루에만 5,600억 원이 넘는 코스피 주식을 순매수하면서 발생한 막대한 원화 매수 수요는 원/달러 환율의 하락을 더욱 부채질했습니다.
- 선순환의 완성: 가파르게 하락한 환율은 한국 자산의 가치를 상대적으로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게 만들어, 다시 외국인 자금 유입을 촉진하는 자기 강화적 순환을 완성합니다.
결론적으로, 이날 원/달러 환율의 급락은 주식시장 랠리의 단순한 결과가 아니라, 랠리를 촉발하고 강화시킨 핵심적인 원인이었습니다.
5. 섹터 및 종목 분석: 다변화된 랠리의 주역들
과거 한국 증시의 상승이 일부 대형주나 특정 산업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면, 2025년 6월 20일의 랠리는 매우 폭넓고 다변화된 성격을 띠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이는 시장의 체력이 특정 테마에 의존하지 않고 전반적으로 건강해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5.1 주도 업종 퍼포먼스
이날 시장 상승을 이끈 업종들은 기술주부터 산업재까지 다양하게 분포했습니다. 특히 ‘양방향미디어와서비스’ 업종이 5.55% 급등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그 뒤를 이어 ‘IT서비스'(+2.05%), ‘비철금속'(+2.04%), ‘출판'(+1.82%) 등이 강세를 보였습니다.13 이러한 업종 구성은 시장의 관심이 플랫폼, IT 서비스와 같은 성장주와 경기 회복 기대감을 반영하는 산업재에 고루 퍼져있음을 보여줍니다.
5.2 핵심 테마별 특징주 분석
여러 테마가 동시에 시장의 주목을 받으며 동반 상승하는 모습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 테마 1: 플랫폼/AI의 부활 (네이버 & 카카오)
- 주요 종목: 카카오(10.26% 급등), NAVER(6.94% 이상 급등).5
- 상승 동력: 새 정부가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내비치면서,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들에 우호적인 정책 ‘훈풍’이 불 것이라는 기대감이 주가를 폭발적으로 끌어올렸습니다.5
- 테마 2: 금융 혁신과 해외 진출 (카카오뱅크)
- 주요 종목: 카카오뱅크(장중 11% 이상 급등하며 52주 신고가 경신).26
- 상승 동력: 카카오뱅크가 포함된 컨소시엄이 태국 가상은행 사업자로 최종 선정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는 단순한 기대감이 아닌, 성공적인 해외 시장 진출이라는 가시적인 성과로 인식되어 강력한 매수세를 유발했습니다.26
- 테마 3: 중국 소비 회복 기대감 (화장품)
- 주요 종목: 아모레퍼시픽(8.1% 급등).27
- 상승 동력: 2분기 들어 중국 화장품 시장이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증권사 분석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중국 관련 소비주들의 실적 개선 기대감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이는 아모레퍼시픽을 비롯한 다수 화장품 종목의 동반 강세로 이어졌습니다.27
- 테마 4: 정부 경기 부양 수혜 (엔터테인먼트/영화)
- 주요 종목: 바른손이엔에이(29.96% 상한가).28
- 상승 동력: 정부의 추경안에 포함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계획이 영화를 포함한 문화·레저 분야의 소비를 촉진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낳았습니다. 이는 영화 관련주에 대한 직접적인 수혜 전망으로 이어지며 주가를 상한가로 이끌었습니다.28
표 3: 주요 특징주 현황 (2025년 6월 20일) | |||||
종목명 | 종목코드 | 종가 | 등락률 (%) | 핵심 상승 동력 | |
카카오 | 035720 | 66,600원 | +10.26% | 정부 AI 정책 기대감 및 저평가 매력 부각 | |
카카오뱅크 | 323410 | 32,850원 | +16.90% | 태국 가상은행 사업자 인가 획득 | |
NAVER | 035420 | 253,250원 | +6.94% | 정부 AI 정책 기대감 | |
아모레퍼시픽 | 090430 | 144,100원 | +8.10% | 중국 소비 시장 회복 기대감 | |
SK하이닉스 | 000660 | 257,000원 | +4.47% | HBM 시장 지배력 및 강력한 외국인 매수세 | |
바른손이엔에이 | 035620 | 590원 | +29.96% | 추경안 편성으로 인한 내수 소비 진작 기대 | |
자료 출처: 5 |
5.3 ‘스마트 머니’의 선택: 외국인·기관 순매수 상위 종목
외국인과 기관이 어떤 종목을 집중적으로 매수했는지 살펴보면, 이들이 시장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지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두 투자 주체가 각기 다른 전략적 판단하에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는 점입니다.
- 외국인의 선택: 외국인 순매수 상위 목록에는 SK하이닉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HD현대중공업, 현대차 등이 이름을 올렸습니다.30 이는 반도체, 2차전지, 방산, 조선 등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한국의 대표적인 수출 제조업에 대한 집중적인 베팅을 보여줍니다. 이들 산업은 글로벌 경기 동향과 달러 약세 환경에서 직접적인 수혜를 볼 수 있는 분야로, 외국인들이 한국의 ‘글로벌 경쟁력’에 투자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7
- 기관의 선택: 반면, 기관 순매수 상위 종목에는 NAVER, 현대로템, 카카오, 삼성에스디에스 등이 포진했습니다.31 이는 플랫폼, IT 서비스 등 내수 시장 및 정부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종목들에 대한 선호를 뚜렷하게 보여줍니다. 기관들은 새 정부의 정책과 추경으로 인한 내수 경기 활성화의 직접적인 수혜주를 공략한 것입니다.
이처럼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수출주’와 ‘국내 정책 수혜를 입는 내수주’라는 두 개의 큰 축을 중심으로 한 ‘이원화(Two-Pronged)’ 전략을 구사했습니다. 이는 시장 랠리가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은, 매우 균형 잡히고 견고한 기반 위에서 이루어졌음을 증명하는 강력한 증거입니다.
결론: ‘삼천피’ 시대의 안착과 향후 전망
2025년 6월 20일, 코스피가 3,000포인트 고지를 재탈환한 것은 한국 증시의 단순한 숫자적 반등을 넘어, 시장의 체질과 심리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입니다. 이날의 상승은 ▲한국 시장을 재평가하기 시작한 외국인 자금의 구조적 귀환 ▲새 정부의 친시장 정책과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대한 강력한 신뢰 ▲대규모 재정 투입을 통한 경기 부양 및 유동성 공급 기대 ▲원화 강세와 안정된 글로벌 환경이라는 우호적인 대외 여건 ▲그리고 특정 섹터에 국한되지 않은 폭넓은 랠리라는 다섯 가지 핵심 동력이 완벽한 시너지를 이룬 결과였습니다.
향후 증시의 향방은 이러한 긍정적인 기대감이 얼마나 현실화되는지에 달려있습니다. 정부가 약속한 상법 개정, 주주환원 강화 등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의 구체적인 입법과 실행 여부가 시장의 신뢰를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또한, 추경 예산이 효과적으로 집행되어 내수 경기를 살리고 기업들의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확인되어야 합니다.
물론, 장밋빛 전망만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 가능성,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예상치 못한 통화정책 기조 변화, 그리고 언제든 다시 불거질 수 있는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외 변수는 여전히 잠재적인 위협 요인으로 남아있습니다.5
결론적으로, 2025년 6월 20일은 한국 증시가 오랜 침체를 딛고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의미 있는 날로 기록될 것입니다. 시장은 이미 높은 기대감을 가격에 반영했습니다. 이제는 정부의 정책 실행력과 기업들의 실적 성장이 그 기대를 뒷받침하며 ‘삼천피’ 시대를 견고하게 다져나갈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때입니다.
#코스피3000 #삼천피 #한국증시 #주식시장분석 #2025년증시 #외국인순매수 #기관순매수 #원달러환율 #환율전망 #추가경정예산 #증시정책 #코리아디스카운트 #카카오주가 #네이버주가 #SK하이닉스 #아모레퍼시픽 #카카오뱅크 #증시전망 #투자전략 #재테크 #KOSPI #주식투자
참고 자료
- 3년 6개월만에 ‘삼천피’…코스피 3021.84 마감뉴시스 – 다음 금융 – Daum,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m.finance.daum.net/quotes/A028300/news/stock/20250620165802916
- 코스피 3020도 돌파… 3년 6개월만에 ‘삼천피’ – 조선일보,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conomy/stock-finance/2025/06/20/BEEQWYR3QNDTVOXTFRNST5B4HY/
- – t뉴스 | 주식현재가 | 국내주식 | 트레이딩 | SAMSUNGPOP.com – 삼성증권,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samsungpop.com/mbw/trading/domesticStock.do?cmd=stockNewsList
- 2025년 6월 20일 국내시황 – YouTube,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shorts/WzT5RRhMLcc
- 코스피, 마침내 3,000선 넘었다…3년 6개월만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 YouTube,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tC_yhcdP4wQ
- 코스피 3000 돌파…정책 기대감 속 외국인 ‘바이코리아’ – 비즈워치,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news.bizwatch.co.kr/article/market/2025/06/20/0027
- 약달러·정책 기대 외국인 폭풍매수…증시 전고점 탈환 노린다 | 한국경제,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62094131
- 코스피 3,000p돌파! 새로운 증시 역사의 시작. 그런데 내 종목은 왜 이래? | Investing.com,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analysis/article-200452790
- KOSPI 과거 금리 – Investing.com,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indices/kospi-historical-data
- [속보] 코스피 장중 3000선 돌파…2차 ‘동학개미운동’ 활활/2025년 6월 20일(금)/KBS,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JQp-urItiNo
- 정책 기대감…3년 6개월 만에 돌아온 ‘3천피’ / KBS 2025.06.20. – YouTube,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MzOueOz882Y
- 코스피 3000선 돌파… 개인 ‘매도’, 외국인·기관 ‘매수’ – 글로벌이코노믹,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g-enews.com/article/Securities/2025/06/20250620133726415244093b5d4e_1
- 코스피 | 코스닥 – 다음 금융,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finance.daum.net/domestic
- 코스닥 실시간 지수 | KQ11 지수 – Investing.com,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indices/kosdaq
- 코스피, 장 초반 2970대 강보합…코스닥은 하락 – 연합뉴스,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0033600008
- [표] 투자자별 매매동향(20일) – 연합뉴스,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0113900008
- 외국인 이달만 5조 쓸어담아… 코스피, 세계 증시서 ‘나홀로 질주’ – 조선일보,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5/06/20/DWHXJZS7YNBDPETY6AKYU666VI/
- 새 정부 20.2조 더 푼다…국민 1인당 15만~50만원 ‘소비쿠폰’ – 세무사신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ebzine.kacta.or.kr/news/articleView.html?idxno=22996
- “지금은 국가재정 사용할 때”…30.5兆 추경 속도전 – 블루밍비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omingbit.io/feed/news/90936
- [2차 추경] “절박한 심정”…李 정부 출범 20일만 30.5조 편성(종합) – ZUM 뉴스,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m.news.zum.com/articles/99018263/2%EC%B0%A8-%EC%B6%94%EA%B2%BD-%EC%A0%88%EB%B0%95%ED%95%9C-%EC%8B%AC%EC%A0%95-%EC%A0%95%EB%B6%80-%EC%B6%9C%EB%B2%94-20%EC%9D%BC%EB%A7%8C-30-5%EC%A1%B0-%ED%8E%B8%EC%84%B1-%EC%A2%85%ED%95%A9?
- 코스피, 중동 불안에도 닷새째 올라 3000 돌파…3년 6개월만(종합) – ZUM 뉴스,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m.news.zum.com/articles/99046057/%EC%BD%94%EC%8A%A4%ED%94%BC-%EC%A4%91%EB%8F%99-%EB%B6%88%EC%95%88%EC%97%90%EB%8F%84-%EB%8B%B7%EC%83%88%EC%A7%B8-%EC%98%AC%EB%9D%BC-3-000-%EB%8F%8C%ED%8C%8C-3%EB%85%84-6%EA%B0%9C%EC%9B%94%EB%A7%8C-%EC%A2%85%ED%95%A9?
- 이번에는 지정학적 요인이 실제로 시장에 영향을 미칠까? By Investing.com – 인베스팅닷컴,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article-1523742
- [서환-마감] 중동 우려 완화·코스피 3천에 하락…14.60원↓ | KB의 생각,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kbthink.com/news-list/view.html?newsId=20250620164054863
- 환율 조회 > 기간별 매매기준율 – 서울외국환중개,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www.smbs.biz/ExRate/StdExRate.jsp
- 외국인 이달들어 3조원대 순매수…열등생 ‘K증시’, 우등생 됐다 – 조선일보,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5/06/09/5BYAGBIEHBDBZCZTNOWAAM2SMY/
- [특징주] 카카오뱅크, 태국 가상은행 인가 획득에 ‘신고가’ | 연합뉴스,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0038400008
- [특징주] 중국 시장 회복 신호에…아모레퍼시픽 8% 급등 | 연합뉴스,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0040000008
- [특징주] 바른손이엔에이 29.96% 등 ‘영화 관련주’ 급등 By MoneyS,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article-1522724
- 코스피 2980선 강보합…코스닥도 보합권서 등락 – 아시아경제 CORE,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ore.asiae.co.kr/article/2025062009450458115
- [표] 거래소 외국인 순매수도 상위종목(20일) – 연합뉴스,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0115900008
- 거래소 외국인 순매도, 순매수 상위 8종목,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truefriend.com/main/research/research/Sell.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