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7일 한국 주식시장 심층 분석: 주요 동력과 투자자 수급, 특징 종목에 대한 종합적 고찰
1. 서론: 2025년 8월 7일 시장 종합 평가
2025년 8월 7일 한국 주식시장은 코스피와 코스닥 양 시장 모두 상승 마감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갔다. 특히 코스피는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며 3,227.68포인트에 안착하는 모습을 보였다.1 이러한 시장의 강세는 단순히 국내 요인에 국한되지 않고, 미국 증시의 긍정적인 흐름과 국내 거시경제의 불확실성 해소, 그리고 특정 대형주 및 테마주의 강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날 시장의 핵심 상승 동력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일 뉴욕 증시의 랠리가 한국 시장에 우호적인 분위기를 조성했다. 애플의 대규모 투자 발표와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기술주 중심의 상승을 이끌었고, 이는 한국 시장의 대형 기술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3 둘째, 미국의 반도체 품목 관세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한미 관세 협정 타결 소식으로 해소되면서 투자 심리가 크게 안정되었다.2 셋째, 이러한 긍정적 환경 속에서 기관 투자자들이 매수 포지션으로 전환하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고, 외국인 투자자의 3개월 연속 순매수 기조는 시장의 중장기적인 상승 모멘텀을 뒷받침했다.4 이 보고서는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당일 시장의 움직임과 향후 전망을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다음은 2025년 8월 7일 주요 지수들의 마감 현황을 정리한 표이다.
[표 1] 2025년 8월 7일 주요 지수 및 시장 통계
지수명 | 종가 | 전일 대비 등락폭 | 등락률 (%) |
KOSPI | 3,227.68 | +29.54 | +0.92 |
KOSPI 200 | 435.35 | +4.67 | +1.08 |
KOSDAQ | 805.81 | +2.32 | +0.29 |
KOSDAQ 150 | 1,349.82 | −1.42 | −0.11 |
KRX 300 | 1,990.85 | +18.95 | +0.96 |
Korea Value-up | 1,274.68 | +9.31 | +0.74 |
출처: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기반 재구성 8
2. 거시경제 환경 및 외부 변수 분석
2.1. 글로벌 증시 동향 및 영향
2025년 8월 7일 한국 주식시장의 상승은 전일 미국 증시의 긍정적인 흐름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뉴욕 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 주요 인사들이 7월 고용보고서와 같은 대규모 수정은 경제가 변곡점에 있을 때 나타난다고 발언하며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실은 가운데, 기술주를 중심으로 반등에 성공했다.3 특히, 애플이 미국 내에 1,000억 달러를 추가 투자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기술주 중심의 랠리가 펼쳐졌다.9 이러한 소식에 S&P 500 지수는 0.73%, 나스닥 지수는 1.21% 각각 상승 마감하며 시장 전반에 긍정적 심리를 확산시켰다.9
미국 증시의 랠리는 단순히 긍정적인 분위기를 전파하는 것을 넘어, 구체적인 투자 포인트를 제시함으로써 한국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애플은 향후 4년간 미국 내 총 6,00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삼성전자를 포함한 10개 기업과의 협업을 강화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10 구체적으로 삼성은 애플의 새로운 혁신 기술 도입에 따라 오스틴 공장에서 칩을 제조할 계획이며, 이는 애플 제품의 전력 효율과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11 이 뉴스는 한국 증시 시가총액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삼성전자의 주가 상승을 직접적으로 견인하는 강력한 동력이 되었고, 결과적으로 코스피 지수 전체의 상승을 유도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 증시가 글로벌 기술주 사이클과 핵심 기업들의 전략적 결정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2.2. 국내외 주요 정책 및 이벤트
미국의 반도체 품목 관세에 대한 우려는 당일 한국 시장에 잠재적인 리스크로 작용했으나,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오히려 시장에 긍정적인 작용을 했다.2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의 첫 만남에서 “관세 협정이 한국에 유리하게 잘 타결되었다”고 평가하며, 이달 말 예정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금리 결정에 대한 “큰 부담을 덜었다”고 언급했다.5 대통령실 또한 미국이 한국에 ‘최혜국 대우’를 약속했음을 재차 확인하면서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데 기여했다.12
이러한 정책적 불확실성 해소는 시장의 심리적 안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에서 반도체 관세 문제는 단순한 뉴스가 아닌, 핵심 산업에 실질적인 위협을 가하는 리스크 요인이었다. 이러한 리스크가 제거되자 그동안 관망세를 유지하던 기관 투자자들의 매수 포지션 전환을 촉진했을 가능성이 높다.4 시장은 부정적인 잠재적 요인이 해소될 때 더 큰 안도 랠리를 펼치는 경향이 있으며, 이번 사례는 거시경제적 불확실성 제거가 시장 상승의 주요 동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2.3. 환율 시장 분석: 원화 강세 기조
2025년 8월 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하락 마감하며 원화 강세 흐름을 보였다. 주간 거래는 전일 대비 8.3원 하락한 1381.2원에 마감되었다.10 우리은행의 매매기준율은 전일 대비 1.20원 상승한 1,387.70원이었으나 13, 이는 시점별 변동에 따른 차이로 보이며, 전반적인 시장의 흐름은 원화의 강세를 나타냈다.
원화 강세의 가장 중요한 배경은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주식 시장 순매수세가 3개월 연속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6 외국인 투자자들이 대규모로 한국 주식을 순매수하면서 달러를 팔고 원화를 사들이는 과정이 반복되었고, 이는 원화 가치 상승(환율 하락) 압력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환율 변동과 외국인 수급의 관계는 상호 인과적인 연결 고리를 형성한다. 외국인 투자자의 지속적인 자금 유입은 원화의 가치를 상승시키고, 원화 강세는 외국인 투자자에게 추가적인 환차익 기대를 제공하여 다시 순매수세를 강화하는 선순환 구조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원/달러 환율의 하락은 단순한 통계적 수치를 넘어, 외국인 투자자들의 한국 시장에 대한 장기적인 긍정적 전망을 시사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3. 주요 지수 및 업종별 성과 분석
3.1. 코스피/코스닥 지수 상세 분석
2025년 8월 7일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29.54포인트, 즉 0.92% 상승한 3,227.68에 장을 마감하며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1 코스닥 지수 또한 2.32포인트, 0.29% 상승한 805.81에 마감하며 동반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8 그러나 세부 지수를 살펴보면 시장 상승의 질적 측면에서 차이가 발견된다. 코스피200 지수가 1.08%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반면, 코스닥150 지수는 오히려 0.11% 하락했다.8 이는 당일 시장 상승이 대형주, 특히 지수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도주들의 강세에 의해 이끌렸음을 의미한다. 시장 전체의 ‘체력’이 고르게 회복된 것이 아니라, 특정 이슈에 의한 종목별 쏠림 현상이 더 강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3.2. 섹터별 성과 및 특징 테마 분석
2025년 8월 7일 시장에서는 다양한 섹터와 테마가 강세를 보였다. 상승률 상위 테마로는 여행(+4.69%), 면세점(+3.47%), 영화(+3.12%), 엔터테인먼트(+2.84%), 백화점(+2.91%) 등 경기 민감 소비재 관련 업종들이 눈에 띄었다.14 또한 초전도체(+3.05%), 원자력발전소 해체(+2.69%), 정유(+2.25%) 등의 테마도 주목받았다.14
특히 당일 시장을 주도한 주요 테마로는 조선/조선기자재, 반도체 관련주,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 자동차 대표주, 제약/바이오 등이 언급되었다.14 조선/조선기자재 테마의 경우, 한미 간의 ‘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가 본격화되면서 국내 조선사들의 미국 시장 진출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고, 이는 HJ중공업(+19.86%) 등 관련 종목들의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15 이러한 테마별 동향은 투자자들이 단순히 전반적인 시장 상승에 편승하기보다, 명확한 성장 재료와 정책적 수혜가 기대되는 섹터에 집중적인 관심을 보였음을 시사한다.
[표 2] 2025년 8월 7일 주요 특징 테마 및 상승률
주요 테마 | 상승률 (%) |
여행 | +4.69 |
면세점 | +3.47 |
영화 | +3.12 |
초전도체 | +3.05 |
엔터테인먼트 | +2.84 |
원자력 발전소 해체 | +2.69 |
정유 | +2.25 |
항공/저가 항공사(LCC) | +2.71 |
출처: 인포스탁 데이터 기반 재구성 14
4. 투자 주체별 수급 동향과 시장 심리
4.1. 외국인 투자자 동향: 장기적 순매수세 지속
2025년 8월 7일 시장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견조한 순매수 기조가 지속되었다는 점이다. 외국인들은 7월 한 달 동안 국내 주식을 3조 4110억 원 순매수하며 3개월 연속 매수 우위를 이어갔다.7 이러한 지속적인 자금 유입은 국내 증시 시가총액에서 외국인 투자자가 차지하는 비중을 27%까지 끌어올리는 주요 원동력이 되었다.6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 동향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미주 지역 투자자들이 2조 1,080억 원을 순매수하며 가장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특히 미국이 2조 4,800억 원을 순매수하며 최대 순매수국으로 부상했다. 반면 유럽은 3,450억 원을 순매도하며 상이한 투자 행태를 보였다.7 외국인 투자자들의 장기 순매수 기조는 긍정적인 환율 환경과 맞물려 한국 시장에 대한 장기적인 낙관론을 강화한다. 이는 단순한 단기적 차익 실현을 위한 자금 유입이 아닌, 한국 경제와 기업의 펀더멘털에 대한 긍정적 평가에 기반한 구조적 포트폴리오 재배치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4.2. 기관 및 개인 투자자 동향: 단기적 대응
당일 코스피 지수 상승은 기관 투자자의 집중적인 매수세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4 이는 한미 관세 협정 타결과 애플의 삼성 협력 발표 등 긍정적인 거시경제 및 개별 기업 이슈에 대한 기관의 즉각적이고 적극적인 반응으로 해석된다.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특정 종목에서 차익을 실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예를 들어, K-뷰티 대장주인 에이피알에서는 기관과 외국인이 대규모 순매수 포지션을 취한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606억 원을 순매도하며 상승에 따른 이익을 확보하려는 심리를 나타냈다.18 이러한 투자 주체별 상반된 움직임은 시장의 긍정적인 흐름 속에서 장기적인 투자 목표를 가진 기관·외국인과 단기적 이익을 추구하는 개인 투자자들의 심리 차이를 명확히 보여준다.
[표 3] 2025년 8월 7일 투자 주체별 순매수/순매도 금액
투자 주체 | 코스피 (순매수/순매도 금액) |
외국인 | 순매수 (3개월 연속) |
기관 | 순매수 (주요 상승 동력) |
개인 | 순매도 (차익 실현) |
출처: 뉴스 및 시장 동향 분석 기반 요약 4
4.3. 시장 심리: ‘불확실성 해소’와 ‘기대감’의 공존
2025년 8월 7일 시장 심리는 ‘불확실성 해소’와 ‘기대감’이라는 두 가지 상반된 요소가 공존하며 형성되었다. 시장은 미국의 반도체 품목 관세에 대한 우려를 갖고 있었으나, 한은 총재의 긍정적 발언을 통해 이 리스크가 해소되면서 안도 랠리가 펼쳐졌다.4 동시에, 미국 증시의 금리 인하 기대감과 애플의 투자 소식은 긍정적인 미래를 향한 기대감을 자극하며 상승 모멘텀을 강화했다.3
이처럼 시장이 긍정적인 뉴스와 부정적인 뉴스에 동시에 반응하는 것은 복합적인 심리 상태를 반영한다. 미국의 다우 지수가 하락하는 혼조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19, 한국 증시가 상승했다는 점은 긍정적 요인들이 부정적 요인을 상쇄하거나 압도했을 때 시장의 상승세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시장 심리를 분석할 때는 단순히 긍정/부정을 이분법적으로 나누기보다, 상충하는 여러 요인들이 어떻게 균형을 이루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일 시장은 긍정적 요인들이 우세한 방향으로 힘을 발휘했다고 판단된다.
5. 특징 종목 심층 분석: 시장을 움직인 주요 종목
5.1. 삼성전자 (005930): 글로벌 파트너십의 수혜
삼성전자는 이날 시장의 핵심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다. 장 초반부터 2% 이상 강세를 보이며 ‘7만 전자’를 회복했고 10, 전일 대비 2.47% 상승한 70,500원에 마감했다.21 이러한 상승은 애플이 미국 내에 향후 4년간 6,000억 달러를 투자하며 삼성 등 10개 기업과의 협업을 강화하겠다는 발표에 기인한다.11 특히 삼성전자는 애플과의 협력을 통해 오스틴 공장에서 애플의 칩을 제조할 계획을 구체화하며 시장의 기대를 한몸에 받았다.11
시가총액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삼성전자의 주가 상승은 개별 기업 이슈를 넘어 코스피 지수 전체의 상승을 견인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는 한국 증시가 삼성전자와 같은 대형주의 뉴스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큰 변동성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시장 분석 시 삼성전자의 동향을 가장 먼저 파악해야 하는 이유를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이다.
5.2. 에이피알 (278470): ‘K-뷰티’ 대장주의 어닝 서프라이즈
‘K-뷰티 대장주’로 불리는 에이피알은 당일 강세를 보였다. 장 초반 4%대 상승을 기록한 데 이어 22, 전일 대비 5.28% 오른 219,500원에 마감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23 이 상승의 주된 원인은 2025년 2분기 실적이 매출 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 영업이익 202% 급증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기 때문이다.23
에이피알의 실적 호조는 특히 해외 매출이 성장세를 뒷받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분기 해외 매출 비중은 78%에 달했으며, 그중 미국 매출이 96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4배 성장하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였다.23 이러한 미국 시장에서의 성공은 당시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역할을 했다.18 에이피알의 사례는 K-뷰티 산업이 과거 중국 시장 의존도에서 벗어나 글로벌 시장, 특히 북미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이는 K-뷰티의 투자 테마가 ‘중국 소비’에서 ‘글로벌 경쟁력’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시사하며, 산업 전체의 재평가를 이끌 수 있는 전환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5.3. 정치 테마주: ‘조국 관련주’의 급등 원인
정치 테마주 또한 이날 시장에서 큰 변동성을 보였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8.15 광복절 특별사면 가능성이 현실화되는 분위기라는 뉴스가 전해지면서 관련 종목들이 급등했다.24 법무부 사면심사위원회 심사 대상 명단에 조국 전 대표가 포함되었다는 소식이 주가 급등의 직접적인 재료로 작용했다.24
관련 종목들로는 화천기계, 삼보산업, 한성기업 등이 거론되었으며, 이들 종목은 각각 10.57%, 6.54%, 8.74% 상승하는 등 강한 변동성을 보였다.26 그러나 이들 종목이 조국 전 장관과 엮인 이유는 “대학교 동문”, “고등학교 동문” 등 기업의 펀더멘털이나 사업 연관성과는 전혀 무관한 인맥 관계에 불과하다.26 이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여전히 특정 정치적 이슈가 비이성적인 투기 심리를 자극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러한 테마주들은 기업의 본질적 가치와 무관하게 움직이므로, 급등락의 위험이 매우 크고 투자 시 극도의 주의가 요구된다.
[표 4] 2025년 8월 7일 주요 특징주 주가 동향
종목명 (코드) | 종가 (원) | 등락률 (%) | 특징 |
삼성전자 (005930) | 70,500 | +2.47 | 애플과의 대규모 협업 발표 |
에이피알 (278470) | 219,500 | +5.28 |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미국 매출 성장 |
한성기업 (003680) | 5,850 | +8.74 | 조국 전 장관 관련 테마주 |
삼보산업 (009620) | 1,483 | +6.54 | 조국 전 장관 관련 테마주 |
화천기계 (010660) | 5,170 | +1.17 | 조국 전 장관 관련 테마주 |
출처: 뉴스 및 시장 데이터 기반 재구성 21
6. 결론 및 종합 전망
2025년 8월 7일 한국 주식시장은 복합적인 호재들이 긍정적인 시너지를 창출하며 상승세를 기록한 하루였다. 미국 증시의 랠리와 애플의 대규모 투자 발표라는 외부 동력이 시장의 활력을 불어넣었고, 한미 관세 협정 타결이라는 국내적 불확실성 해소 요인이 투자 심리를 안정시켰다. 이러한 우호적인 환경은 외국인 투자자의 장기적인 순매수 기조와 기관 투자자의 단기적인 매수세를 결합시키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향후 시장의 주요 변수로는 지속적인 외국인 자금의 유입 여부, 이에 따른 원/달러 환율의 추가적인 변동, 그리고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 정책 방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의 장기적인 매수세가 이어질지 여부는 환율과 직결된 문제로, 향후 한국 시장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가 될 것이다.
하지만 시장에는 여전히 잠재적 리스크 요인들이 존재한다. 기업의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정치적 이슈에 따라 급등락하는 테마주들은 시장의 건전성을 해칠 수 있는 투기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종목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유가 변동이나 글로벌 지정학적 긴장 등 예상치 못한 외부 변수들에도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표 5] 2025년 8월 7일 USD/KRW 환율 동향
구분 | 환율 (원) | 변동 (원) |
매매기준율 | 1,387.70 | +1.20 |
주간 거래 종가 | 1,381.2 | −8.3 |
Mid-market exchange rate | 1,386 | 해당 없음 |
출처: 서울 외환시장, 우리은행, Wise 데이터 기반 재구성 10
참고 자료
- [마켓뷰] 상호관세에도 3200 재탈환 코스피, 상승세 이어갈까 – 연합뉴스,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807170100008
- 코스피, 3,220대 상승 마감…코스닥도 올라 – KBS 뉴스,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324379
- 한국투자증권,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ecurities.koreainvestment.com/main/Main.jsp
- [마감시황] 코스피, 美 반도체 품목관세 우려에도 0.92% 오른 3227.68마감 – 글로벌이코노믹,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g-enews.com/article/Securities/2025/08/202508071619184820288320b10e_1
- 이창용 “관세협정 타결로 금통위 부담 덜어” – KBS 뉴스,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324115
- 외국인 국내주식 3개월째 순매수…시총 27% 외국인 몫 – KBS 뉴스,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324202
- 외국인 3개월 연속 순매수… 7월 국내주식 3.4조원 사들여 – 인베스팅,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article-1582781
- KRX | 정보데이터시스템 – 한국거래소 | 정보데이터시스템,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data.krx.co.kr/contents/MDC/MAIN/main/index.cmd
- [뉴욕 브리핑] 애플 1000억달러 투자에 ‘축포’…美증시 동반 랠리 …,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news.dealsitetv.com/articles/157709
- 애플發 훈풍에 코스피 3220선 회복…삼전 2.47%↑[마감시황] – Daum,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v.daum.net/v/20250807164017709
- 애플, 美에 4년간 6000억달러 투자…삼성 등 10개사와 협업 확대 …,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2064
- 이창용 “美와 관세협정 잘 돼서 8월 통방 큰 부담 덜었다”,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68732
- 기간별환율조회 – 우리은행,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pot.wooribank.com/pot/Dream?withyou=CMCOM0185
- 인포스탁,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infostock.co.kr/
- 2025년 8월 7일 조선, 우크라이나 재건, 반도체가 시장을 달군다!,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moneykhan/moneykhan1/contents/250807162044193pj
- 금감원, 7월중 외국인 상장주식 3조4110억원 순매수 – 일간NTN,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int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45209
- 외국인 자금, 국내 주식 시장에 3개월 연속 유입… 7월 3조4110억원 순매수 – 조선일보,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5/08/07/KUOCOLMQGRODTTHGTDTA7YLHRE/
- 올해만 주가 94% 뛴 에이피알, 上 치자 개미 활짝[줌인e종목] – 뉴스1,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1.kr/industry/sb-founded/5776856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발효 속 혼조 마감…다우 0.51%↓ – 뉴시스,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mobile.newsis.com/view/NISX20250808_0003283048
- 삼성전자, 애플 계약에 장초반 2% 강세…’7만전자’ 회복[핫종목] – 데일리머니,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www.thedailymone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5908
- 외국인 매매동향 – 삼성전자 – GSIFN IR/IO,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ir.gsifn.io/sample/ir_foreign.html
- [특징주] 시총 8조 넘어 더 간다… K뷰티 대장주 에이피알, 장 초반 4 …,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stock/market_trend/2025/08/07/7S7OWGBJIBFSTF3FV5FHD4AYAU/
- ‘시총 8조’ 에이피알, 어디까지 올라갈까…목표가 줄상향 – 한겨레,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212174.html
- 2025년 8월 7일 (목) 특징주 및 급등종목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jusikdante/danteodong/contents/250807212751966du
- 조국 사면 가능성과 조국 관련주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jusikdante/danteodong/contents/250807135707525au?from=news_arp_global
- 조국 관련주 & 테마주 12종목 총정리 [2025년 최신] – 알파스퀘어,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alphasquare.co.kr/home/theme-factor?theme-id=175
- 화천기계, +10.57% 상승폭 확대 – 조선비즈,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stock/c-biz_bot/2025/08/07/2WFQBMPNJRYHKKDMOWLD6K4MCM/
- 삼보산업, +9.84% 상승폭 확대 – 조선비즈,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stock/c-biz_bot/2025/08/07/S6L7CFXRVS36LN5PJOWZI34DZU/
- 한성기업, +9.29% VI 발동 – 조선비즈,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stock/c-biz_bot/2025/08/07/MBEJEUL3VBBNLHE53SL3D65HO4/
- 미국 달러 대한민국 우승 Exchange Rate History | Currency … – Wise, 8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ise.com/kr/currency-converter/usd-to-krw-rate/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