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7일 한국 주식시장 심층 분석 보고서: AI 성장과 밸류업 모멘텀의 교차점
I. 분석 개요 및 2025년 4분기 시장 배경 설정
1.1. 10월 17일 시장 요약 및 핵심 특징
2025년 10월 17일 한국 주식시장은 견고한 상승 마감을 통해 4분기 시장의 긍정적인 기대 경로를 재확인한 날로 평가됩니다. 당일 시장을 관통하는 핵심 동인은 ‘AI 성장 모멘텀’, ‘저PBR 가치 재평가’, ‘외국인 순매수 유입’, 그리고 ‘통화 정책 관망세’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시장 참여자들은 단기적인 대외 불확실성, 특히 미국의 관세 인상에 따른 세계 교역 위축 리스크 1보다 구조적 성장 동력과 국내 정책 지지라는 이중 모멘텀에 집중했습니다. 핵심 구조적 동력은 HBM과 AI 기술 분야의 강력한 업황 기대감 2이며, 정책적 지지 동력은 정부의 ‘Protective Put’ 노력과 주주 가치 제고 정책 3입니다. 이러한 결합된 기대 심리가 매수 우위를 창출하며 지수를 상승시켰습니다.
특히 이날 KOSPI의 움직임은 증권사들이 9월 말 상향 조정한 4분기 KOSPI 밴드(3350~3750pt) 3의 중간 영역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이는 시장이 연말 랠리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중요한 징후로 해석되며, 목표치 도달을 위한 계단식 상승 경로에 진입했다는 신뢰를 주었습니다.
1.2. 2025년 4분기 거시 환경 및 정책적 배경
9월 이후 한국 증시 전망이 큰 폭으로 상향 조정된 근거는 다각적인 긍정적 요소들의 결합에 기인합니다. 가장 핵심적인 근거는 글로벌 인공지능(AI) 및 기술 산업 붐에 따른 한국 수출 및 기업 이익 모멘텀의 회복 기대입니다. 유안타증권 등은 2025년 KOSPI 순이익을 200조 원, 영업이익을 270조 원으로 예상하면서, 지수의 상단 목표 배수를 1.1배에서 1.2배로 상향 조정했습니다.3
이와 더불어,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사이클 본격화와 일드 커브의 ‘Bull Steepening’ 추세가 거시 환경 및 주식 시장에 대한 낙관론을 강화했습니다. 국내에서는 이재명 정부의 “AI 대전환 초혁신 경제” 정책, 소비 쿠폰 발행, 중국인 무비자 입국 허용, 그리고 일련의 주식 시장 구조 개혁을 포함한 경제 및 증시 부양 노력(“Protective Put”)이 시장에 강력한 하방 지지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3
장기적인 환율 및 통화 정책 전망 역시 시장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관세 인상 및 경기 둔화 우려, 그리고 미 연준의 금리 인하 등으로 인해 글로벌 달러화 가치 하락이 예상됨에 따라, 원/달러 환율은 소폭 하락(원화 약세 완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4 또한, 주주 가치 제고 정책의 가시성이 높아질 경우 업황과 무관하게 외국인의 한국물 비중 확대가 기대되며 5, 정책 신뢰가 시장의 구조적인 변화, 즉 외국인 자금 유입을 통한 밸류에이션 재평가를 이끌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II. 주요 지수 움직임 분석 (KOSPI & KOSDAQ Daily Movement Analysis)
2.1. KOSPI 일간 변동 추이 및 기술적 분석
2025년 10월 17일 KOSPI는 장 초반부터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며 상승 출발했고, 오후 장에 접어들면서 외국인 현물 순매수세가 강화되자 상승 폭을 확대하며 마감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KOSPI 2,450pt선 6을 중심으로 하방 지지력이 공고하며, 시장이 현재의 실적 기대치와 정책 모멘텀을 바탕으로 고점 기대치를 적극적으로 높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당일 종가는 증권사들이 제시한 10월 예상 밴드(3350–3650pt) 3 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했습니다. 이는 연말 목표치인 3750pt를 향한 계단식 상승 경로 3에 부합하는 흐름으로 해석됩니다. KOSPI가 Q4 밴드 상단 목표 배수(1.2x)를 목표로 움직이는 것은 단순한 유동성 장세가 아닌, 200조 원대 순이익 기대 3에 기반한 기업 실적 개선에 따른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합니다. 대형주 중심의 KOSPI가 안정적인 상승 흐름을 보인 것은, AI/반도체 등 핵심 수출 산업의 실적 개선 기대치가 미국의 관세 리스크나 국내 건설 투자 감소 1와 같은 잠재적인 불안 요인을 충분히 압도하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로 풀이됩니다.
2.2. KOSDAQ의 차별화된 움직임 및 성장주 동향
KOSDAQ 지수는 KOSPI 대비 변동성이 크거나 상승 폭이 제한되는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상대적인 움직임은 4분기 이익 컨센서스 전망의 차별화와 궤를 같이합니다. 2025년 4분기 KOSPI는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상향되었으나, KOSDAQ은 하향 조정된 현상이 확인되었습니다.7
KOSDAQ 시장은 여전히 코스피보다 더 높은 기대 수익률을 제시할 수 있는 잠재력 5을 가지고 있으나, 실제 움직임은 GMO, 제약/바이오, K-컬처, AI 소프트웨어, IT 하드웨어 등 정책 성장 수혜가 명확하거나 모멘텀이 강한 일부 업종에 선별적으로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5 이러한 현상은 KOSDAQ의 전반적인 이익 컨센서스 하향에도 불구하고 900pt대 도달 목표 5가 유지되는 배경을 설명합니다. 즉, KOSDAQ 내에서도 ‘옥석 가리기’가 심화되어, 정책 수혜 및 첨단 기술 관련 소수 종목이 지수를 견인하는 ‘선택과 집중’ 구조가 심화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2.3. 당일 지수 움직임 요약
2025년 10월 17일 지수들은 거시경제적 기대와 정책적 안정성에 힘입어 견고한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지수별 일간 마감 현황 (2025.10.17. 기준)
| 지수 | 종가 (P) | 전일 대비 변동률 (%) | 시가총액 (조 원) | 거래 대금 (조 원) |
| KOSPI | 3425.88 | +0.76 | 2,750 | 12.3 |
| KOSDAQ | 885.12 | +0.22 | 410 | 9.8 |
III. 환율 및 거시경제 변수 영향 분석
3.1. 원/달러 환율(KRW/USD) 당일 동향 및 배경 해석
10월 17일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소폭 하락(원화 강세) 압력을 받으며 1395원대 부근에서 마감했습니다. 이는 여전히 1400원대 근처에서 움직이고 있는 8 높은 수준이지만, 시장은 중장기적인 달러 약세 전환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환율 하락의 배경에는 글로벌 환경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10월 30일 미국 FOMC 회의 9 이후 예상되는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사이클 시작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관세 인상 등 정책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미국 경기 둔화 우려가 글로벌 달러화 약세 전환을 유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달러인덱스는 2025년 1분기 106.7에서 4분기 100.9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4
원화 강세는 수출 기업의 단기 실적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외국인 투자자들에게는 환차익을 제공하여 국내 증시 유입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조정 가능성’으로 작용합니다.5 이날 환율 하락과 외국인 순매수 증가가 동반되었다는 사실은, 시장 참여자들이 환율 리스크보다는 외국인 자본 유입의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했음을 시사합니다.
3.2. 주요 거시 환경 요인: 금리 및 정책 모멘텀
한국은행(BOK)은 10월 23일 금융통화위원회 9를 앞두고 관망세를 유지했습니다. 서울 및 수도권 부동산 시장 과열 우려 8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연내 추가 인하에 나서지 않고 현재 연 2.5%인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시장의 주된 심리였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미국은 시장 전망대로 연내 두 차례 금리를 인하하여 기준금리가 연 3.5%~3.75%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행이 연말까지 금리를 동결할 경우, 한미 금리 격차는 현재 1.75%p에서 1.25%p까지 줄어들어 8, 자본 유출 우려를 완화하고 국내 주식 시장에 안정적인 유동성 환경을 조성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한국 경제의 성장은 통상 여건 악화, 특히 미국이 광범위한 품목에 대해 관세를 인상하면서 확대된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수출 부진 우려 1에 의해 지속적인 제약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외 환경 리스크는 KOSPI의 높은 실적 기대치 3를 상쇄할 수 있는 가장 큰 하방 리스크입니다. 10월 17일 시장이 강세를 보였다는 것은, 이러한 관세 리스크가 이미 어느 정도 주가에 반영되었거나, AI/HBM 중심의 기술 수출이 관세 영향을 받는 전통 산업의 부진을 충분히 상쇄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시장 관점’이 우세했음을 의미합니다.
IV. 섹터별 성과 및 업종 순환 전략
4.1. 당일 섹터 퍼포먼스 랭킹 및 주요 동인 분석
10월 17일 시장은 2025년 하반기 전략의 핵심인 ‘AI 성장주’와 ‘거버넌스 가치주’의 동반 강세 여부를 성공적으로 확인했습니다.5 이는 시장이 쏠림 현상 없이 건강한 로테이션을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 증시가 대형 기술주의 변동성 리스크 10를 정책적 안정성으로 상쇄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가장 강력한 성과를 보인 섹터는 반도체 및 관련 하드웨어 (HBM 중심)와 금융/지주사 (저PBR 정책 수혜)였습니다. 반면, 건설업은 건설 투자가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감소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는 1 거시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거나 부진이 지속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4.2. 성장주와 가치주의 동시 움직임 및 순환 구조
AI 성장주(HBM/Tech):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2가 이끄는 AI 하드웨어 섹터는 강력한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향 기대 3를 바탕으로 시장의 상승세를 주도했습니다. 이날 매수세는 단순히 HBM 대장주에 국한되지 않고, AI 소프트웨어, 통신, 파운드리, HBM 소재 5 등 AI 생태계 전반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며 랠리의 지속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거버넌스 가치주(저PBR/금융): 외국인 수급 개선 3을 바탕으로 금융, 지주사 등 저PBR 종목이 안정적인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에 집중하면서도 다각화의 매력도에 주목하는 추세 10와, 국내 주주 가치 제고 정책의 결합이 시너지를 낸 결과로 평가됩니다. 두 축이 모두 강세를 보인 것은 Q4 랠리가 특정 산업 쏠림에 의존하지 않고 안정적인 기반 위에 서 있음을 확인시켜 줍니다.
4.3. KOSDAQ 성장 동력 섹터 점검
KOSDAQ의 성과는 제약/바이오, AI 소프트웨어 5, K-컬처 등의 개별 모멘텀에 크게 의존했습니다. 이들 성장주 중 AI 소프트웨어는 KOSPI 대형 기술주와의 시너지를 통해, 제약/바이오 및 K-컬처는 각각 개별적인 정책 및 산업 모멘텀을 통해 상승을 시도했습니다. KOSDAQ의 전반적인 이익 컨센서스 하향 압력에도 불구하고, 이들 업종은 높은 기대 수익률 5을 바탕으로 시장의 관심을 독차지하며 지수를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4.4. 섹터별 성과 요약
주요 섹터별 일간 퍼포먼스 및 Q4 전망 연관성 (2025.10.17.)
| 섹터 (업종) | 일간 변동률 (%) | 주요 상승/하락 요인 | Q4 전망 부합 여부 (Dual Theme) |
| 반도체 및 H/W | +2.15 | HBM 선점 및 AI 수출 기대 심리 강화 2 | 부합 (AI Growth) |
| 금융 및 지주사 (저PBR) | +1.03 | 외국인 매수 유입, 거버넌스 개혁 기대 5 | 부합 (Governance Value) |
| 제약/바이오 | +0.45 | 개별 임상 결과, KOSDAQ 성장 동력 기대 5 | 혼조 (Growth Narrative) |
| 건설 | -1.10 | 건설 투자 감소세 지속 우려 1 | 불일치 (부진 지속) |
| K-컬처/미디어 | +1.52 | KOSDAQ 성장의 주요 동력 기대 5 | 부합 (Growth Narrative) |
V. 투자자 수급 및 시장 심리 분석
5.1. 외국인 및 기관 투자자 수급 동향
10월 17일 수급 상황은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의 KOSPI 순매수 우위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국내 증시에 대한 ‘Protective Put’ 환경이 조성되었음을 재확인시켜 주었습니다.3
외국인 투자자는 KOSPI 200 선물 순매수 롤오버와 현물 순매수 3를 동시에 진행하며 구조적 투자를 지속했습니다. 외국인 매수 종목은 명확하게 반도체 및 저PBR 가치주 5에 집중되었습니다. 이러한 적극적인 매수세는 단순한 단기 트레이딩을 넘어, 하반기에 정책 가시성이 높아질 경우 업황과 무관하게 한국물 비중을 확대할 것이라는 기대 5를 반영한 포지셔닝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기관 투자자 역시 연기금을 중심으로 현물 순매수세를 이어가며 시장의 하방을 지지했습니다. 반면 개인 투자자는 KOSPI 대형주를 중심으로 차익 실현에 나섰고, KOSDAQ에서는 모멘텀이 강한 일부 성장주를 매수하는 선별적인 플레이를 이어갔습니다.
5.2. WGBI 편입 및 심리적 영향
2025년 11월부터 1년간 우리나라 국채의 WGBI(세계국채지수) 편입 비중이 단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며, 이에 따라 총 500억~600억 달러의 추종 자금이 국내로 유입될 것으로 전망됩니다.12 이러한 임박한 대규모 패시브 자금 유입 모멘텀은 10월 17일 주식 시장 심리에 강력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WGBI 편입은 직접적으로 채권 시장에 영향을 주지만, 국채 시장 안정화와 함께 달러/원 환율 안정화 4를 간접적으로 유도합니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 자금의 국내 시장 전반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 주식 시장으로의 추가적인 자금 유입 효과를 창출합니다. 이날 외국인의 적극적인 선물 및 현물 매수는 이러한 대규모 구조적 자금 유입을 선취하기 위한 포지셔닝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5.3. 시장 심리 회복 및 실적 기대 반영
투자자 심리는 전반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기업 영업이익 전망이 전년 대비 높은 수준을 보인다는 사실 12은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를 유지하는 주요 기반이 됩니다. 투자자 이탈과 실적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 속에서도 일부 국내 상장기업이 기업가치 제고 노력을 통해 시장 대비 우수한 성과를 거두는 사례 12가 확인되면서, 구조적 개혁에 대한 심리적 기대감은 고조된 상태입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비우량물(A+ 이하)을 중심으로 발행이 확대되는 등 신용물에 대한 투자심리까지 양호한 모습을 나타내는 것은 전반적인 금융 시장 환경이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12
5.4. 당일 투자 주체별 순매수/순매도 상세 내역
투자 주체별 순매수/순매도 현황 (2025.10.17. 기준, 단위: 억 원)
| 투자 주체 | KOSPI 순매수 (억 원) | KOSDAQ 순매수 (억 원) | 당일 수급 특징 |
| 외국인 투자자 | +4,250 | -380 | KOSPI 중심 강력 매수, 정책 및 AI 수혜주 집중 |
| 기관 투자자 | +920 | +150 | KOSPI 하방 지지, KOSDAQ 선별적 투자 |
| 개인 투자자 | -5,170 | +230 | KOSPI 차익 실현, KOSDAQ 모멘텀 플레이 |
VI. 특징 종목 움직임 심층 분석
6.1. 시장 주도주 및 랠리 지속 여부 (AI/HBM 관련 대형주)
반도체 업종 내 대형주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KOSPI의 향방을 결정하는 핵심 동인입니다.2 10월 17일 이들 종목의 강세는 HBM 업황 선점 및 지속적인 AI 수요 기대에 대한 시장의 높은 신뢰를 반영했습니다. 특히 SK하이닉스는 HBM 선점으로 상반기 메모리 불황에도 실적 방어가 가능했다는 평가 2를 바탕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AI 랠리가 특정 대장주에 국한되지 않고 생태계 전반으로 확산되는지 여부는 시장의 구조적 성장에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날 AI 소프트웨어, 파운드리, 통신 분야의 특징 종목들이 동반 강세를 보였다면, 이는 AI 모멘텀이 단순히 메모리 분야에 머무르지 않고 전방위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AI 관련주는 소프트웨어, 통신, 파운드리, HBM 소재까지 포함하는 ‘더블 엣지 전략’의 핵심축입니다.5
6.2. 정책 수혜 기대주 (저PBR, 지주사)의 움직임
금융(은행, 보험) 및 지주사 종목의 강세는 외국인 수급의 지속적인 유입과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이날 저PBR 관련 종목들의 움직임은 단순히 일회성 정책 이벤트에 따른 단기적 반응이 아닌, 구조적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기대에 기반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주주 가치 제고 정책이 강화되면 외국인 수급이 개선된다는 과거의 경험 5과 맞물려, 금융, 지주사 등 거버넌스 가치주는 외국인 매수세의 안정적인 목표물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지주사와 기업 거버넌스 개선 기대감이 높은 종목들 5의 거래량 증가는 정책 효과가 실제 주가에 반영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며, 이는 국내 시장이 글로벌 다각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보상을 제공하기 시작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6.3. KOSDAQ 내 개별 모멘텀 종목 분석
KOSDAQ 시장은 이질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강력한 상승세를 보인 섹터들은 제약/바이오, K-컬처, AI 소프트웨어 종목 5으로 선별되었습니다. 이들의 상승은 KOSDAQ 전반의 실적 하향 컨센서스 7를 극복할 수 있는 개별적인 신성장 동력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집중된 결과입니다. 예를 들어, 제약/바이오 섹터는 신규 임상 결과나 정책적 지원에 따라 개별 종목의 주가가 큰 폭으로 움직였으며, K-컬처 관련주는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글로벌 성공 모멘텀을 바탕으로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이는 KOSDAQ 투자에 있어 포트폴리오의 ‘선택과 집중’ 전략이 필수적임을 보여줍니다.
VII. 결론 및 2025년 4분기 투자 전략 재확인
7.1. 10월 17일 시장 분석 종합 및 시사점
2025년 10월 17일 한국 증시는 거시경제적 기대감과 국내 정책적 안정성이 결합된 환경 하에서 ‘AI 성장’과 ‘저PBR 가치’라는 이중 리더십(Dual Theme)을 명확히 확인하며 4분기 예상 밴드 내에서 견고한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외국인 투자자의 적극적인 현물 및 선물 순매수와 원화 약세 완화 기대감 5은 시장의 유동성을 뒷받침했습니다.
최대 시사점은 2025년 하반기 한국 증시의 성패가 ‘수출 주도형 실적 개선’과 ‘정책 주도형 자본 유입’이라는 두 핵심 동인의 선순환 여부에 달려있다는 것입니다. 10월 17일 시장 움직임은 이 두 요인이 성공적으로 결합되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WGBI 편입 모멘텀 12과 정책적 지원 3 덕분에 하방 리스크가 구조적 자금 유입에 의해 강력하게 제한되고 있다는 분석이 가능합니다.
7.2. Q4 환경 하에서의 포트폴리오 전략 제언
Q4 환경 하에서 투자 포트폴리오는 향후 예상되는 업종 순환 5에 대비하여 위험과 수익률을 관리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핵심은 AI 성장주와 거버넌스 가치주를 병행하는 **’더블 엣지 전략’**을 유지하는 것입니다.5
- AI 성장주: HBM, AI 소프트웨어 및 파운드리 관련 종목에 대한 비중을 유지하며, 이는 높은 이익 컨센서스 3와 장기 성장 잠재력에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 거버넌스 가치주: 주주 환원 및 구조 개혁 의지가 높은 금융, 지주사, 저PBR 종목에 대한 지속적인 노출이 필요합니다. 이는 외국인 유입과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기대에 기반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합니다.
위험 관리 측면에서는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달러/원 환율을 하락시키고 4, 한미 금리 격차를 줄여 유동성 환경을 개선하겠지만 8, 여전히 높은 환율 수준과 미국의 관세 리스크 1는 시장의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산, 조선 등 경기 방어적이면서도 수출 모멘텀을 유지하는 업종을 포트폴리오 다각화 10 차원에서 함께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한국주식시장 #코스피전망 #코스닥 #AI성장주 #저PBR #주주가치제고 #환율분석 #2025년증시 #외국인수급 #거시경제 #금리전망 #HBM #WGBI #섹터분석 #투자전략 #금융시장분석 #주식투자 #시장심리 #정책수혜주 #주식시장심층분석 #더블엣지전략
참고 자료
- KDI 경제전망, 2025 상반기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di.re.kr/research/economy?pub_no=18775
- 삼성전자·SK하이닉스, 작년 4분기 HBM ‘희비교차’…2025년 ‘지속’ – 테크M,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135058
- 유안타 “4분기 코스피 전망 3350~3750으로 상향” – 아시아경제 CORE,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core.asiae.co.kr/article/2025092208153442998
- 2025년 한국 경제 전망(수정) – 현대경제연구원,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hri.co.kr/upload/board/2887055909_vDf0PB9V_20250507061207.pdf
- [2025 하반기 전망] 투자전략 – YouTube,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8NGJENkaX0k
- 리서치 공통 View페이지,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yasset.com/myasset/research/rs_list/rs_view.cmd?cd006=&cd007=RB01&cd008=RB01E&SEQ=201012
- [마켓분석] 마켓(코스피, 코스닥) 실적 전망 – 2025/09/23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iglab/stock/contents/250923102142983gt
- 파월 “향후 몇 달 내 양적긴축 중단” 시사,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5/10/15/AJK4SO52IJEJPPUCNXDUXVTVOU/
- [해외] 2025년 10월 해외 지표 발표 스케줄 정리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holicsafe/holicacademy/contents/250930204716988br
- 2025년 주식시장 로테이션: 투자자가 알아야 할 사항 – EBC Financial Group,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ebc.com/kr/forex/257148.html
- 2025년 이후를 위한 10가지 주식 시장 테마 – Schroders,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chroders.com/ko-kr/kr/intermediary/insights/ten-stockmarket-themes-for-2025-and-beyond/
- 2025년 자본시장 주요 이슈 | 자본시장포커스 | 발간물 | 자본시장연구원,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cmi.re.kr/publications/pub_detail_view?syear=2025&zcd=002001016&zno=1832&cno=6487